
통찰학습(Insight Learning)은 독일 심리학자 볼프강 쾰러(Wolfgang Köhler)에 의해 개발된 학습 이론입니다. 시행착오적인 무선적 반응의 반복이 아니라, “아하!” 순간을 강조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응이나 시행착오보다는 갑작스럽고 이해하기 쉬운 통찰에 의해 학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시간에는 쾰러의 통찰학습에 대한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징 통찰학습은 문제 사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인지함으로써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과 결부시켜 재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제해결 과정이 통찰 전략의 사용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문제를 하나의 전체로서 지각하는 의식현상을 중요시합니다. 그리고 문제해결 상황으로의 전환이 갑자기 일어나며, 통찰에 의해 수행되는 ..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개인의 학습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인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학적 이론입니다. 여기에서는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modeling) 사회인지이론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관찰학습입니다. 관찰학습은 주변 환경에서 일어나는 다른 개인들의 행동, 경험, 또는 사건을 관찰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개인들의 행동이나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행동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은 주변의 모델이 되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

벌허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 Skinner)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동물 및 인간의 학습과 행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입니다. 이 시간에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성 조작적 조건화는 특정한 행동이 특정한 결과를 가져오면 해당 행동이 더 자주 나타날 것이라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행동과 결과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고 강화 또는 벌을 통해 특정 행동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구성 요소 1) 행동(Operant) 스키너는 행동을 조작적인 개념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는 환경에서 개인이 수행하는 특정한 행동이나 행동의 종류를..

반려견을 키워 본 사람이라면 밥그릇을 두드리기만 해도 사료봉지의 부스럭 소리만 나도 개가 달려오는 것을 잘 알 것입니다. 이것이 일상적 조건 반사의 예입니다. 이 시간에는 음식물에 대한 개의 위액분비를 측정하던 중에 음식을 보는 것만으로도 개가 타액을 분비한다는 것과 더 나아가 실험자의 모습을 보거나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타액을 분비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이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블로프는 개의 타액연구의 실험에서 개가 보이는 조건화된 반응을 통하여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를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고전적 조건화란 일정한 자극에 대해 선천적으로 유발되는 반사를 처음에는 그와 아무런 관계가 없던 자극과 연합시킴으로써, 이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