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심리, 상담이야기28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 사회인지이론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은 개인의 학습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인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학적 이론입니다. 여기에서는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modeling) 사회인지이론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관찰학습입니다. 관찰학습은 주변 환경에서 일어나는 다른 개인들의 행동, 경험, 또는 사건을 관찰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개인들의 행동이나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행동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은 주변의 모델이 되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 2023. 11. 28. 벌허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 Skinner) : 조작적조건화 벌허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 Skinner)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동물 및 인간의 학습과 행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입니다. 이 시간에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성 조작적 조건화는 특정한 행동이 특정한 결과를 가져오면 해당 행동이 더 자주 나타날 것이라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행동과 결과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고 강화 또는 벌을 통해 특정 행동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구성 요소 1) 행동(Operant) 스키너는 행동을 조작적인 개념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는 환경에서 개인이 수행하는 특정한 행동이나 행동의 종류를.. 2023. 11. 28. 이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 고전적 조건화 반려견을 키워 본 사람이라면 밥그릇을 두드리기만 해도 사료봉지의 부스럭 소리만 나도 개가 달려오는 것을 잘 알 것입니다. 이것이 일상적 조건 반사의 예입니다. 이 시간에는 음식물에 대한 개의 위액분비를 측정하던 중에 음식을 보는 것만으로도 개가 타액을 분비한다는 것과 더 나아가 실험자의 모습을 보거나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타액을 분비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이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블로프는 개의 타액연구의 실험에서 개가 보이는 조건화된 반응을 통하여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를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고전적 조건화란 일정한 자극에 대해 선천적으로 유발되는 반사를 처음에는 그와 아무런 관계가 없던 자극과 연합시킴으로써, 이 자.. 2023. 11. 25.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 도덕성 발달이론 로렌스 콜버그 (Lawrence Kohlberg)는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하인츠 딜레마’입니다. 이 시간에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징 콜버그는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연구를 하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실제로 도덕 문제에 어떻게 답하는가’하는 사고 체계를 연구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도덕성 발달 단계를 3수준 6단계로 나누었습니다. 도덕적 딜레마나 어려운 결정을 해야 하는 가설적 갈등상황을 제시하고 ‘어떻게 하겠는가?’,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를 질문을 하고,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예’, ‘아니요’라는 응답에 관심을 둔 것이.. 2023. 11. 25.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개인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입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은 개개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행동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아닌 행동의 목적을 분석합니다. 이 시간에는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열등감 아들러는 열등감을 중요시하였습니다. 열등감은 완전이나 완성을 향한 힘, 즉 개인을 더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힘입니다. 이러한 열등감에 대핸 보상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을 경우에는 병적 열등감에 빠져들게 됩니다. 병적 우월감을 가진 사람은 과장되고, 건방지고, 자만하고, 이기주의적이고, 풍자적이며, 남을 업신여김으로써 자신이 권위 있는 존재라는 인산을 남기려고 합니다. 아들러는 우월에 대한 추구가 인간 생.. 2023. 11. 17.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입니다. 그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특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무의식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이에 관련된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칼 구스타프 융이 창시한 분석심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이트와의 차이점. 프로이트는 인간의 현재는 과거경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나머지는 무의식으로부터 전해져 온다고 믿었던 반면에, 융의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의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힘을 포함하여 의사결정, 목표설정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또한 융은 인류에게는 한 사람 안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 모두 존재한다고 믿었고, 인간의 영혼과 종교적 욕.. 2023. 11. 17. 이전 1 2 3 4 5 다음